차량형 방문 목욕 서비스, 우리 집 실제 경험으로 정리해봤습니다
1. 방문 목욕 서비스란?
방문 목욕 서비스는 스스로 목욕이 어려운 어르신을 위해
요양보호사들이 집으로 직접 찾아와 목욕을 도와주는 장기요양보험 서비스입니다.
방문 목욕은 두 가지 형태로 나뉘며, 우리 집은 차량형 방문 목욕을 이용 중입니다.
- 차량형: 이동식 목욕 차량이 집 앞으로 와서, 차량 내 장비로 목욕 진행
- 욕실형: 가정 내 욕실을 이용하여 목욕 보조
2. 우리 집의 차량형 방문 목욕 경험
- 차량은 예약된 요일과 시간에 정해진 팀이 도착해요
- 차량 내부에는 온수, 샤워기, 침대형 장비가 갖춰져 있어 어르신을 안전하고 편안하게 목욕시킬 수 있어요
- 요양보호사 2명이 한 팀으로 방문, 목욕 준비부터 마무리까지 꼼꼼하게 해줍니다.
- 우리 집은 한 번 목욕하는 데 약 1시간 정도 소요돼요.
- 처음엔 어르신도 어색해하셨지만, 지금은 정해진 팀이 익숙해서 심리적 안정감도 생겼어요.
3. 방문 목욕 준비물과 순서
방문 목욕이 처음이라면 준비가 헷갈릴 수 있는데,
우리 집은 아래처럼 정리해 두었어요.
준비물 (가방에 따로 준비해서 드림)
- 수건 2장
- 샤워젤 또는 비누
- 바디로션
- 새 기저귀
- 갈아입을 옷 한 벌 (속옷 포함)
만약 준비물을 챙기지 못한 경우,
차량에 기본 샴푸, 수건, 비누 등은 구비되어 있으므로
요양보호사님이 알아서 사용해 주세요.
목욕 전후 순서
- 입고 있던 옷과 기저귀 그대로 차량으로 이동
- 미리 갈아입히지 않아도 됩니다.
- 차량에서 목욕 후 → 새 기저귀와 옷으로 갈아입혀 드림.
- 사용한 헌 기저귀는 → 비닐봉투에 담아 건네줌 이건 가족이 통째로 버리면 돼요.
참고: 요청 시에는 간단한 이발(바리깡으로 정리 정도)도 해주시는 경우가 있어요.
(※ 전문 커트는 아님)
4. 본인부담금 비율은 왜 다를까요?
장기요양보험에서는 수급자의 상황에 따라 본인부담금 비율이 달라집니다.
대상본인부담금 비율설명
일반 대상자 | 20% | 우리 집이 해당됨 |
감경 대상자① | 12% | 기초연금 수급자 등 |
감경 대상자② | 9% | 의료급여 수급자 등 (저소득층) |
→ 감경 대상자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신청하면 감경 승인을 받을 수 있어요
5. 방문 목욕 서비스 신청 방법
- 장기요양등급 신청
-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신청
- 방문조사 후 1~5등급 판정
- 장기요양기관(센터) 선택
- 요양보호사 배정 + 방문 서비스 계획 수립
- 방문 목욕 서비스 추가 요청
- 케어매니저와 협의
- 차량형 또는 욕실형 선택 가능
- 정해진 요일에 서비스 시작
- 대부분 주 1회 이용
- 비용은 등급 및 감경 상태에 따라 차이 있음
6. 나의 경험과 팁
- 우리 집은 와상 어르신이 계셔서 차량형 목욕이 꼭 필요했어요.
- 처음엔 긴장했지만, 요양보호사 팀이 고정되면서 편안함이 생겼고
- 어르신도 목욕 후 기분이 좋아지고 식사도 잘 하셨어요.
- 기저귀, 로션, 수건 등 잊지 말고 가방에 챙겨드리는 습관이 생겼고
- 사용한 기저귀는 비닐봉투에 담아 주시기 때문에 처리도 간편했어요.
- 이 글이 방문 목욕 서비스를 처음 신청하려는 분들께
-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.
- 한 번의 목욕이 단순한 청결이 아닌, 어르신의 건강과 자존감을 지켜주는 일임을 느끼고 있어요.
'가족요양 가이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와상환자와 중증 치매 환자에게 적합한 호스피스 치료 및 완화 치료 (0) | 2025.04.01 |
---|---|
콧줄(비위관), 정말 간단한 걸까? (0) | 2025.03.31 |
방문 물리치료, 파킨슨병은 왜 어렵나요? (0) | 2025.03.30 |
방문 물리치료, 정말 존재는 할까? (0) | 2025.03.29 |
뱃줄(위루관) 관리법 (0) | 2025.03.25 |
멸균장갑 끼는법 (0) | 2025.03.25 |
집으로 방문하는 의사 선생님: 시범 사업과 치매 관리 (0) | 2025.03.23 |
섬망: 치매 환자에게 필요한 응급 관리법 (0) | 2025.03.22 |